본문으로 가기 주메뉴로 가기 카피라이트로 가기

고혈압

고혈압이란?

혈압이란 혈관 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혈액이 전신을 돌아다니는데 필요한 압력을 말합니다. 고혈압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혈압기로 측정하여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를 초과한 경우를 말합니다.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들에게서 대략 5명 중 1명 이상에서 발생이 되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됩니다.

진료예약 고혈압 클리닉 진료 이미지

고혈압

  • 정상혈압과 고혈압
    테이블 설명
    고혈압의 정도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 120 이하 그리고 80 이하
    경계성고혈압 120~139 또는 80~89
    1기 고혈압 140~159 또는 90~99
    2기 고혈압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 고혈압의 증상
      1. 뒷머리가 당긴다.
      2. 머리가 아프고 무거운 느낌이 난다.
      3.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난다.
      4. 얼굴이 빨개지고 코피가 자주난다.
      5. 쉽게 피로를 느낀다.
  • 고혈압 합병증
    1.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2. 뇌출혈,뇌경색

    3. 만성신부전

    4. 안저 질환

    5. 말초 혈관 질환

    • 위험인자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 필요한 검사

      심전도, 흉부사진, 혈액검사(필요 시 심장초음파)

    • 치료

      약물치료(혈압강하제), 생활습관 교정

  • 치료
      • 고혈압 치료의 목표는 혈압 조절을 통해 심뇌혈관 질환 및 사망률을 낮추는 데 있으며, 일반적으로 치료의 목표는 140/90mmHg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입니다.
      • 정상 혈압 이상인 모든 환자에서 적극적인 생활요법(저염식, 체중 감량, 유산소 운동, 절주, DASH 식단)이 도움이 됩니다.
      • 약물치료는 환자의 혈압,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도, 동반 질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든 약제가 특징적인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